본문 바로가기
디카연습

2024 달성대구현대미술제

by 진밭골 2025. 4. 21.

2024 달성 대구현대미술제, 전시 주제 <그래도 , 낭만>,  2024.9.7~10.6, 강정보 디아크 광장 및 내부 전시장

구르는 사람과 역경에 부딪힌 바위 / 변카카(1985~ ) / 청년작가 공모 수상작(최우수상),

거대한 바위와 야외 운동기구로 구성, 불가항력적인 힘을 상징하는 거대한 바위와

인간의 노화라는 자연적인 현상에 굴복하지 않는 의지의 상징으로

운동기구를 결합한 형태로 제작했다

비일상으로의 항해 / 김남정(1985~) / 청년작가 공모 수상작(대상) / 안정적인 일상을 벗어나

마음 깊은 곳의 울림을 쫒아 모험을 떠나기로 결심한 이들을 응원하고자 이 작풍을 구상했다

해방된 기억/ 유준오(1990~) / 청년작가 공모 수상작(우수상) / 이 작품은 디지털 트윈

기술을 이용하여 현실의 작품 속에 관객이 한지를 넣어 태울 때 이를 센서가 감지하여

가상 현실 속으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가상공간의 조형물과 주변 환경이

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

유토피아: 도시의 숲 / 이채원(1992~ ) / 청년작가 공모 수상작(우수상), 스테인리스 스틸에 우레탄 도장, LED, 화산석

되고싶어(체스 킹&폰) / 청년작가 공모작 우수상, 체스의 킹과 폰을 모티브로 제작하여,

체스의 규칙중 프로모션(적진 끝까지 간 폰은 원하는 장기로 바꿀 수 있다)을 통해

누군가가 되고 싶은 모습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

공든탑 / 허산(1980~) / 돌, 스테인리스 / 우리의 마음속에 각자의 염원을 담아 쌓은 공(功)이

0을 의미하는 '공', 또는 구(球)를 의미하는 '공'이 될 수 있음을 표현하였다

삶의 분수 : 강정 / 권효정(1992~), 일상 속에서 예술이 존재하고 의미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표현한 작품,

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물건들이 층층이 쌓여 물이 흐르면서 상상의 분수가 완성된다.

일념의 시간 / 진기종(1981~) / 스틸로폼, 철골구조, 방수도료, 이 작품은 인류가

소망하는 평화와, 생명의 시작과 끝의 반복 등의 갈망에 대한 내용이며, 숫자 8의

종교적 의미와 형태적 의미인 뫼비우스의 띠 와도 같은 영원성을 의미한다

Glow pebble / 진귀원(1981~) / 투명레진, 염료. 

향기 / 고수영 / 인간 내면의 변하지 않는 본질과 마음을 가슴속 깊은 곳에서부터 피어오르는 향기로 표현

먹이제공터 / 성태향(1991~), 오늘날 우리 사회구조 일면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. 눈에 보이지

않지만 계급, 권력, 자본, 정보의 지배와 관련된 부조리하고 위태로운 구조를 은유한다

날고 싶은 꿈 / 이시영(1974~), 자작나무 판재 끼워 맞춤 후 조립, 우리의 욕망과

도전이 자신이 살고 있는 픙경을 어덯게 변화시키는지를 묻고 있다

곽훈 9월 7일 퍼포먼스 영상 / 포크레인을 조작해 작품을 완성하는 포크레인 드로잉 퍼포먼스

IDOL_Mickey mouse, <우상> 시리즈 / 전가빈(1988~), 시멘트, 철근

정직이라는 진정성 / 전가빈(1988~), 시멘트,철근, 황동

악센트릭 아바티 / 이병호(1976~), 조각위에 컬러석고

인체측정 / 이병호(1976~), 석고,폴리우레탄, 나무, 가변설치

백색 오브제들의 0형적 집합 / 문관우(1987~), 백자토,무유약 세라믹, 가변설치

Never Has Been, NevNer Will Be / 양수연(1988~), 비단에 수묵, 십장새의 일부를

"빛을 잃은 태양', '뿌리가 드러난 소나무', '얼굴 없는 사슴', 추락하는 학' 등으로 표현하여

'무한을 향한 인간의 욕망이 헛된 것' 임을 나타낸다

초상화(Feat, 꽃) / 김재욱(1992~), 다채널 영상, 모니터 7대 가변설치, 반복재생

피고 지고, 피고 지고... / 이재훈(1978~), 천국의 문(로렌죠 베르티)를 오마주한 작품이다. 생성과 소멸이라는

반복되는 무한함 속에서 인간이 어덯게 그것과 같이 지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

이런 꿈을 꾼다면 / 전가빈(1988~)

염원의 항아리 / 오제성(1987~), 손수레, 세라믹, 대형 항아리 위에 돌탑을 쌓았다

머리맡에 세 악마 / 우정수(1988~), 불면증으로 밤을 지새우며 꾸는 꿈처럼 파편적인 이미지 시퀸스를 보여준다

이상한 나라의 민화이야기_WISH / 배문경(1988~), 십장새의 이미지를 입체로

구현하고 미디어와 접목하여 영원불멸의 기원을 공간으로 재구성한 작품

大유쾌mountain; artifacts / 원예찬(1995~), 인공지능생성 3D개체, 흙

이상한 나라의 민화이야기_WISH / 배문경, 혼합매체, 3D 프린팅, 프로잭션맵핑, 단채널비디오, 사운드, 2분

교차지점 / 장동욱(1985~), 버려진공간의 아파트 놀이터를 담은 작품으로

작가의 유년기 기억과 중첩된 풍경들을 그렸다

청록색 도시1 / 신건우(1986~) 캔버스에 유체, 아크릴릭

그림자 도시 - 국가유공자의 집 2 / 신건우(1986~)

페스티벌 / 리우(1966~), 컴퓨터 부품, AI로 대변되는 테크놀로지 시대의 인간상을 상상해본다

 

Stone composition 045 / 이태수(1981~), 우리는 같은 사물을 바라보더라도 대상을 다르게 인식한다.

3개의 바위가 불가능한 위치에 놓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모형이다.

아랑의 여정 / 강호(1974~), 인간과 자연(나무)은 서로 다르지 아니하며,

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개념을 표현한 작품이다

생명의 나무 2024 / 정지연(1984~), 가치를 잃은 나무들, 사업쓰레기(스테인리스),

우레탄 페인팅, 실제 나무의 형상에 자연과 인공의 소재가 조합된 작품이다.

협력을 통한 불멸과 영원의 의미와 함께 새로운 가치와 가능성을 시사한다.

<추억의 문> 김형표(한국), 화강석 조각

 

붓길, 백(白)으로 날아오르다 / 임현락(1964~), 천에 수묵, 작가가 흰 무명천에 점을 찍고, 선을 긋는 행위는

살아있음을 느끼는 생명의 호흡이며, 남겨진 붓자국은 생의 흔적이며 삶이다. 땅의 끝 지점에서 하늘로

날아오르며 바람에 흩날리는 깃발은 죽음 이후 미지의 차원으로 승천을 의미한다

세 개의 레이어 / 김병호(1974~), 철, 스테인레스 스틸, 인조새 / 3개의 단면으로 된 금속거울로

이루어진 공간으로 작품 속에 들어간 사람은 자신이 반사된 모습과 그 반사된 형상이 무한히

반사되어 마치 현실의 레이어(Active Layer)에 갇힌 듯하게 연출된다

폭포 2024 /권용주(1977~), 타포린, 포장천막, FRP, 수중펌프,

뉴 스트럭쳐_강정 / 권오상(1974~), 장식품, 건축물,미술품 등의 이미지들이 합쳐져있다. 

 

'디카연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두류공원 벚꽃  (0) 2024.04.02
2023 달성대구현대미술제  (0) 2024.01.07
대구수목원 국화축제(2022)  (0) 2022.11.12
달성대구현대미술제  (0) 2022.09.16
남원 춘향테마파크  (0) 2018.04.10